이전
다음
이미지 확대
지난 13일 발생한 싱크홀
[사상구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부산=연합뉴스) 차근호 기자 = 부산 사상구 일대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싱크홀 사고와 관련해 시민단체가 부산시에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 사회복지연대가 이름을 바꾼 ‘건강사회복지연대’는 15일 논평을 내고 “사상∼하단선 도시철도 건설 구간을 중심으로 되풀이되는 지반 함몰은 단순한 사고를 넘어 부산시의 안전 불감증과 안일한 대응이 낳은 예고된 사고”라고 질타했다.
해당 건설 현장 인근에는 2023년에 3차례, 2024년에는 8차례, 올해 3차례 등 총 14건의 싱크홀이 발생했다.
연대는 지난해 9월 트럭 2대가 빠지는 싱크홀 사고 이후 부산시가 3차원 지반 특성 예측 장비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까지 구체적 도입 움직임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연대는 “시의회도 기존 GPR(지표투과 레이더)의 기술적 한계를 지적하며, 3차원 지반 특성 예측 조사와 심층적인 조사 공법 도입을 강력히 촉구했지만, 부산시는 여전히 정밀한 조사에 한계가 있는 기존 GPR에 성능을 보강한 차량형 멀티 GPR에만 의존하고 있다”면서 “더 이상의 탁상공론을 멈추고 즉각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9월 발생한 싱크홀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대는 서울시가 선제적으로 도입한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부산시도 조속히 제작하고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촉구했다.
사상∼하단선 도시철도 건설 공사를 전면 중단하고 철저한 조사를 통해 공법 변경이나 재시공 등 근본적인 대책을 찾아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지하 하수관·상수관 등 기반 시설에 대한 정밀 안전 점검과 노후 시설물 교체를 포함한 체계적인 유지보수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4월15일 15시10분 송고